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가격을 자꾸 올리는 샤넬, 프라다, 루이비통과 텐트 치고 구매하려는 소비자

by 애플피시 2021. 12. 19.
반응형

국내 명품 시장은 세계 7위인 135억 달러가 넘는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유독 국내 시장에서 명품들은 가격을 한해에도 몇 번씩 올리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소비자들은 줄까지 서가면서 명품을 구매하려 합니다. 오히려 가격 인상 소식이 있으면 더 구매가 몰립니다.

 

 

샤넬, 프라다, 루이비통 가격 인상

 

샤넬 가격 인상 소식과 함께 가격이 오르기 전 미리 구매하려는 소비자들이 매장 앞에 몰려있는 뉴스 사진을 본 사람은 많을 것입니다. 이렇게 가격 인상 소식과 함께 구매가 늘어나서 그런지 샤넬은 국내에서 2021년 한 해에만 대략 네 번 정도 가격을 인상했습니다.

 

프라다 역시 샤넬 못지않게 가격을 자주 인상하였습니다. 최근 가방 가격을 5~10% 인상한 것을 포함하여 올해 한 해 프라다는 국내에서 대략 6번 가격을 인상하였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인기 있는 명품 중 하나인 루이비통 역시 올해 5차례가량 가격을 인상하였다고 합니다.

 

물론 가격 인상의 이유는 다양하게 분석됩니다. 가장 큰 이유는 그래도 잘 팔리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니 가격을 인상한다는 소식이 들리면 더 많은 명품 구매가 몰리는 것도 명품 브랜드들이 가격을 올리게 만들고 있습니다. 다른 하나의 주요 이유는 세계 시장에서 명품 판매가 부진했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유독 국내에서 잘 팔리므로 부족한 매출을 보충하기 위해 가격을 더 올린다고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결국 명품 브랜드들이 가격을 올리는 것은 그래도 잘 팔리기 때문일 것입니다. 아니 그래야 더 잘 팔리기 때문일 수도 있습니다.  

 

 

명품을 가지고 있는 사람과 아닌 사람

 

요즘 국내에서는 어지간한 사람이면 명품 하나 정도는 가지고 있습니다. 남자도 고등학생, 대학생 정도면 100만 원 정도 지갑이나 스니커즈 정도는 하나 가지고 있어야 어울릴 수 있다는 뉴스가 나올 정도로 명품은 일상화되었습니다. 20만~30만 원 하는 한정판 스니커즈 모으는 청소년이 검소해 보일 정도입니다.

 

한때 등골 브레이커로 불리던 교복 위에 입는 50만~60만 원 패딩도 이제는 학생들 패딩 계급 서열 중간에도 오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렇듯 학생, 직장인, 주부 할 것 없이 일상에서 명품을 보는 것은 흔한 상황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전 세계 명품 시장 7위밖에 못하는 것이 이상하다 느껴질 정도입니다.

 

국내 명품 인기를 해석하는 다양한 의견이 있지만 요즘 많이 나오는 것이 보복 소비입니다. 집값이 너무 올라 집을 못 사니 보복 소비로 명품이라도 나에게 선물하는 것이나, 코로나로 휴가 때 해외여행도 못하고 일상 활동이 많이 제한되는 데서 오는 스트레스를 명품을 구매하는 것으로 해소한다는 의견입니다.

 

그러나 생활 중 사람을 만나다 보면 자신을 표현하거나 과시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명품이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다 보니 오히려 이전부터 명품을 많이 사용하던 사람들은 오히려 잘 알려지지 않은 명품을 찾아 구매하는 경우도 생기고는 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 미국 사교계에서도 나타났었습니다. 유명 셀럽을 따라 명품을 구매해 그들의 그룹에 속한다는 소속감을 느끼려 하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셀럽들은 기존 제품에서 다른 제품으로 이동하는 일이 반복되는 것이었습니다.

 

요즘은 인스타그램 등 SNS가 커져 셀럽들이 일반 사람들과 차별화 두기 위해 브랜드를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를 홍보하고 판매하기 위해 오히려 더 노출하고는 합니다.

 

지금 국내에 부는 명품 바람도 명품 소유를 통해 자신의 우위를 어필하고 존재감을 표시하려는 행위로 보입니다.    

 

 

유교 걸, 유교 맨 그리고 명품

 

재밌게 독특한 명품 주요 시장으로 꼽히는 국가가 유교 영향력이 강한 중국, 한국, 일본입니다. 인구의 차이가 있어 명품 시장 규모의 차이는 있지만 이 세 나라의 명품 사랑은 유독 심합니다.

 

또 이 세 나라의 특징은 부동산이 부의 축적에 상당히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는 것입니다. 일본은 이로 인해 경제 위기가 있었고, 중국은 이번 헝다그룹 사건으로 부동산 위기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도 너무 오랜 부동산 가격으로 조정 징후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는 이런 고가 부동산으로 인해 한 동네에서도 아파트 놀이터를 다른 아파트 어린이는 못쓰게 한다던지, 통학로로 아파트를 지나가게 하지 못하게 한다던지 하는 중세 시대에나 있을 법한 계급 문제가 불거지기도 합니다. 

 

오히려 이런 계급 문제는 부자들이 사는 동네보다 중산층이 모여 사는 동네에서 심해 일부 사람들은 아파트별로 학급이나 다니는 학교를 분리하도록 요구한다는 뉴스가 나오기도 했습니다.

 

이런 측면에서 일상에서 명품은 사농공상 구분의 척도의 역할을 하기도 하고 일종의 신분을 나타내는 표식이라 생각하는 듯한 모습도 보입니다. 

 

그렇다면 가격을 인상한다는 것은 빨리 명품을 사놓아야 한다는 신호로 받아들일 수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반대로 명품 기업 입장에서 국내 명품 소비의 이유가 이렇다면 아무리 가격을 올리더라도 명품을 구매할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게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결국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수익성 높은 판매촉진 방법이 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